이곳의 글은 렌파이 구버전의 번역 방법입니다. 새로운 현지화 방법에 대한 글을 업로드했으니
자세한 내용은
초보자를 위한 렌파이 현지화 방법 (ver. 6.17.5) 글을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기본 작업
렌파이 다운로드
렌파이를 내려받은 후 압축을 푸세요.
주의: 설치 경로에 한글이 포함되어있으면 안 됩니다. 반드시 영문(아스키 코드)로만 이루어진 경로에 압축해제하세요.
예)
E:\내 엔진\RenPy (x)
E:\Engine\RenPy (o)
렌파이에서 불러오는 파일/폴더 이름에는 한글을 절대 사용하지 마세요.
당장에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더라도 렌파이 게임 배포판을 압축/업데이트를 할 때 에러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6.16버전 이상의 버전
렌파이설치경로/templates/ 의 경로에 아래 파일을 압축 해제합니다.
그 뒤 렌파이설치경로/templates/korean/game/options.rpy 에 다음의 스크립트를 추가합니다.
사용하실 폰트를 변경하고 싶다면 templates/korean/game/tl/None 경로에서 nanum.ttf 폰트 삭제 후 원하는 폰트를 복사+붙여넣기 하신 뒤에 위의 스크립트를 적은 options.rpy을 열고 style.default.font = "사용할폰트파일이름"을 적어주시면 됩니다.
6.15 버전 이하의 버전
한글 폰트를 /template/game 폴더에 넣기
렌파이에서 한글 출력을 하는 데 필요한 무료 폰트를 /렌파이 설치 폴더/template/game 폴더에 넣습니다.저는 네이버의 나눔 폰트를 이용했습니다. 나눔 폰트처럼 다른 곳에 껴서 배포하려면 라이선스를 동봉해야 한다는 조건이 있는 폰트는 텍스트 파일에 라이선스도 담아 /template/game 에 저장합니다.
options.rpy 수정
/template/game/options.rpy 파일을 메모장 등으로 열어 아래 있는 내용을 복사해서 붙여넣습니다.위의 예를 이용하자면 제 경우는 nanum.ttf 가 폰트 파일 이름이니 style.default.font = "nanum.ttf" 로 입력하면 되겠죠.
이제 렌파이로 만든 게임에서 한글을 표시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렌파이 게임에서 사용되는 기본 메뉴들은 영문 텍스트로 출력이 됩니다. 게임에서 사용되는 메뉴(시작, 옵션 버튼 등)을 한글로 바꾸고 싶다면 다음 단계를 진행하세요. 그냥 영어 메뉴를 그대로 사용하고 싶다면 3번 단계로 건너 뛰고 한글 출력이 제대로 되는지 테스트를 해보세요.
부수 작업 - 게임 메뉴 한글로 바꾸기
게임 메뉴를 한글로 바꾸는 방법으로는 다음 두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① translations.rpy 혹은 ② 수정된 screens.py를 렌파이 폴더/template/game 폴더에 저장하는 방법입니다.
translations.rpy 파일 추가하기
- 렌파이 런처(Launcher.exe) 를 실행하고 Edit File 에서 All Script 를 클릭
- 스크립트 에디터 (jEdit) 가 실행되면 컨트롤+N 누른 후 새로 뜬 창에 이 페이지에 있는 내용을 복붙합니다.
Game/Main menu trans ~ 부분의 내용만 복붙하세요.
- 등호 오른쪽에 있는 u'내용' 부분에서 내용을 적당히 번역해서 입력합니다.
- 저장할 때 파일 이름은 translations.rpy 로 저장합니다.
- 이 모든 과정이 귀찮다면 그냥 렌파이 위키에서 다운로드하거나
이 파일을 다운받으면 됩니다만 렌파이를 처음 만져보신다면 시험삼아서 건드리는 쪽이 익숙해지는 데에도 더 좋겠죠.
screens.rpy 파일 수정하기
② /template/game 폴더에 있는 screens.rpy 를 수정합니다.저처럼 스크립트 파일 하나 더 늘어나는 게 싫으신 분은 screens.rpy 를 수정하시면 됩니다.
- 여기서 수정해야 할 부분은 _("내용") 이라고 적힌 부분입니다. 단순 따옴표 안에 글자 적힌 부분은 수정하지 않아도 됩니다.
- 위에 보시듯 _("Start Game") 처럼 밑줄+괄호로 시작하는 따옴표가 있습니다. 이 부분은 _("시작") 으로 바꿔도 되지만 ShowMenu("load") 는 건드리지 마세요.
- 하나씩 찾아서 수정하고 맨 밑 쪽에 다음과 같이 입력합니다.
-오른쪽에 u'' 부분은 적당히 고쳐넣으세요.
마찬가지로 이 모든 과정이 귀찮으시면 아래 파일을 다운로드해서 /template/game 폴더에 붙여넣으세요.
테스트
한글 출력이 제대로 되는지 테스트해봅시다.렌파이 런처를 실행하고 New Project 를 선택해 새 프로젝트를 만듭니다. 테마는 마음에 드는 것으로 선택합니다.(나중에 테마를 바꿀 수 있으니 미리 심각하게 걱정 안 하셔도 됩니다.) 완료하면 방금 적었던 프로젝트 이름이 런처 상단에 뜨게 됩니다. (참고로 white Lily 테마를 사용하는 경우 해당 테마 전용 폰트가 사용되므로 한글 출력이 안 되는 이슈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Edit Script 버튼을 누르고 jEdit 이 실행되면 script.rpy 탭이 선택되었는지 확인합니다.
스크립트 내용에서 Eileen 이라는 부분, You've 로 시작하는 문장과 그 다음 문장을 한글로 바꾸어봅시다.
* 스크립트에서 # 이 앞에 붙은 문장은 주석으로 게임 화면에는 표시되지 않습니다.
한글이 제대로 나오면 준비 완료입니다.
참고
템플릿 폴더를 수정하는 이유
- 게임 프로젝트를 새로 만들 때마다 templates/korean 또는 template (이하 템플릿 폴더)에 있는 파일이 복사돼서 게임 프로젝트 폴더가 만들어집니다. 그러므로 템플릿 폴더 쪽에 게임에 필요한 파일을 넣어두어야 게임 프로젝트 새로 만들 때마다 일일히 위의 trans~~ 같은 파일을 복사하는 수고를 덜 수 있습니다.
1.3.2 와 1.3.3 의 차이점
translations.rpy 파일을 만들면 screens.rpy 를 바꾸지 않아도 한글 메뉴가 출력이 되며, 또한 screens.rpy 를 지웠을 때에도 게임 메뉴가 한글로 나타납니다. 그러나 screens.rpy를 수정하는 경우에는 그렇지 않습니다. 해당 파일을 지우면 게임 메뉴는 영문으로 나타납니다.
그러나 screens.rpy 를 지웠을 때 나타나는 게임 메뉴 화면은 수정하기 힘듭니다. 되도록이면 screens.rpy는 지우지 않는 쪽이 게임 메뉴를 수정하기 편합니다. 무슨 소린지는 나중 강의에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
그 외의 차이점이라면 2.1은 스크립트 파일이 하나 더 있어야 하고(반드시 그래야 한다는 건 아니지만 따로 만들어두는 게 관리하기 편하니까요), 2.2는 기존에 있는 파일을 조금만 수정하면 된다는 정도입니다. 마음가는대로 선택해서 수정하시면 됩니다.
위에도 적었지만 영어로 적힌 메뉴를 그대로 쓰시겠다면 이 두 작업은 안 하셔도 됩니다. 다만 한글 출력을 위해서 다음 스크립트는 반드시 스크립트 파일 어딘가에 적어두어야 합니다.
FAQ
아래처럼 파일 이름 적었는데 에러가 발생해요.
폰트 파일 이름뿐만 아니라 확장자까지도 적어야 합니다. "nanum.ttf"에서 뒤에 .ttf를 파일 확장자라고 합니다. 뭐 예를 들면 그림 파일이라 하면 .gif나 .jpg, .png 등이 확장자입니다. 폴더를 열어 파일 이름을 보니 파일 확장자가 안 보인다면 http://www.windowstalk.co.kr/161 이쪽 참고하셔서 파일 확장자도 표시되도록 설정하세요.
그리고 폰트 파일 확장자를 확인한 다음 그 확장자까지 포함한 파일 이름을 적어주면 됩니다.
렌파이 구버전을 사용하다가 런처의 업데이트 기능으로 새 버전을 받은 뒤 새 프로젝트 생성하니 에러 메시지가 뜹니다.
c:\users\사용자계정이름\appdata\roaming\renpy 폴더로 진입 후 이름이 launcher로 시작되는 폴더를 지우시면 됩니다.